본문 바로가기

정보/육아

신생아 황달 수치 정상범위 및 원인 증상

반응형

 

아기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신생아 활달 정상수치 및 황달 원인을 정리한 글입니다. 초보 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걱정하지 말고 본 포스팅을 꼼꼼하게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신생아 황달 원인, 증상

 

신생아 황달증상은 피부가 노랗게 변합니다. 막 태어난 아기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인데 원인은 혈액 속에 있는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서 그것이 피부에 쌓여 색을 변하게 하는 것입니다. 황달 증상으로 피부나 눈의 흰자가 노랗게 변하게 되는데, 체내의 빌리루빈이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아 쌓이면 발생하게 됩니다.

 

침대에-누워있는-아기
신생아 황달 정상수치

 

신생아황달 원인은 신진대사가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이제 막 태어난 아기들은 적혈구 수명이 짧고 몸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것도 잘 되지 않습니다. 또한 신체의 각 기관이 아직 완벽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도하게 생성된 빌리루빈 성분이 몸 속에 잘 쌓이게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만삭으로 태어날 경우 약 60%가, 미숙아로 태어날 경우에는 약 80%의 아기가 황달 증상을 겪는다고 합니다. 

 

 

  신생아 황달 수치 정상범위

 

신생아 황달 정상수치는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하여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 황달수치 정상범위는 12mg/dL 미만입니다. 따라서 만약 혈중 농도가 이보다 높게 되면 신생아황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은 대부분 2~3일째 황달 정상수치를 넘게 되면서 나타납니다. 이후 다시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범위로 내려오게 되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신생아를-안고있는-부모
신생아황달수치정상범위

 

 

  신생아 황달 언제까지

 

증상은 생후 2~3일째 날부터 나타납니다. 이때 신생아 황달 수치 정상범위인 12mg/dL 이상이 되고, 약 5~7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따라서 약 일주일이 지난 후에는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아래로 내려오고, 신생아 황달수치 정상범위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아기의 신진대사가 익숙해지면서 체내의 빌리루빈을 배출하는 역할을 잘 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7~10일이 지나도 신생아 황달 수치 정상범위로 황달 수치가 떨어지지 않거나 신생아 황달 정상수치를 넘어서 15mg/dL 이상이 된다면 병일 수 있으므로 꼭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신생아 황달 확인방법

 

아기 황달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기고 피부 색을 관찰합니다. 얼굴이나 가슴까지만 노랗다면 괜찮지만 만약 팔과 다리, 발바닥까지 전부 노란 경우에는 증상이 심각할 수 있습니다.

 

병원-침대에-누워있는-아기
황달수치 정상범위

 

 

또한 아기의 소변 색이 매우 진해지거나 대변의 색이 흰색과 비슷해진다면 병적 황달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외에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생후 2주가 지났는데도 황달 증세가 남아있거나 신생아 황달 수치 정상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꼭 진료를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영유아 개월별 발달과정 아기 발달과정

4개월 아기 시력 발달 키 몸무게 분유량

아이 열 내리는 방법

기저귀 발진 진정시키는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