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차량 점검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추운 날씨로 인해 차에 이상이 생길경우 안전에 큰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타이어 점검은 겨울철 꼭 필요합니다. 오늘은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에 대해 알기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타이어 공기압이란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함께보면 좋은글
타이어 공기압이란
타이어 공기압이란 자동차 타이어 속에 있는 공기의 압력을 말합니다.
자동차별로 알맞은 공기의 압력을 유지시켜야 주행 시 타이어에 이상 마모나 발열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연료 소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의 경우 타이어 수명과 승차감, 연료 소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항상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을 평소보다 낮추고,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평소보다 높입니다. 이는 외부 온도에 따라 타이어 속의 공기가 팽창을 하거나 수축을 하기 때문입니다.
날씨가 쌀쌀해지면 차량의 타이어 저압 경고등이 자주 들어옵니다. 그렇게 되면 고속 내구성능이 떨어지면서 스탠딩 웨이브 발생 후에 타이어 파열 사고가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이론적으로 공기압이 30% 낮아지면 고속내구성능은 24% 정도 낮아집니다.
최근 나온 차량은 자동으로 여름철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을 체크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안내를 해줍니다. 적정 공기압 대비 약 20~25% 정도 낮아질 경우 저압 경고등이 들어옵니다.
하지만 해당 시스템이 없다면 차량정비소에 방문하여 적정 공기압을 확인하고 점검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여름철 타이어 적정공기압에 대해서는 아래 이전 포스팅을 참고 바라며, 오늘은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평소보다 약 10% 정도 높여야 합니다. 외부 온도가 낮아지면서 타이어 내부 공기가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차량별 평소 적정공기압은 경차는 28~30psi, 아반떼의 경우 33psi, 소나타는 34psi, 스포티지나 싼타페는 35psi입니다.
적정공기압의 경우 차량 설명서나 혹은 연료뚜껑의 안쪽에 적혀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차량 점검을 받으며 타이어도 함께 살펴보시면 되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이상으로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